[고두현의 문화살롱] 생텍쥐페리가 리비아 사막에서 배운 생존법

입력 2023-06-27 17:51   수정 2023-06-28 00:08


“앗! 하강기류에 휘말렸다. 조심해! 어, 어….” 모든 게 순식간에 일어났다. 비행기가 급속도로 추락하더니 굉음과 함께 땅에 처박혔다. 1935년 파리~사이공 구간 비행시간 단축 신기록에 도전하다가 당한 사고였다. 프랑스 작가이자 조종사인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는 가까스로 살아남았다. 다행히 정비사 프레보도 무사했다. 그러나 절망은 그때부터 시작됐다.

그곳은 끝이 보이지 않는 리비아 사막 한복판이었다. 통신 장비가 열악한 그 시절, 사막 조난사고는 곧 죽음을 의미했다. 30시간이면 온몸에 수분이 다 빠져나가서 죽게 되는 열사의 사막. 살갗에 들러붙은 모래는 땀과 범벅이 돼 몸의 수분을 계속 빼앗았다. 침이 마르고 숨쉬기가 버거운 데다 목구멍까지 쓰라렸다.
"어딘가 샘을 감추고 있기 때문"
마실 것도 없고 먹을 것도 없는 극한 상황에서 기진맥진해 있던 어느 날, 생텍쥐페리는 자그마한 몸에 큰 귀를 가진 사막여우 한 마리를 발견했다. 저 여우는 대체 뭘 먹고 살아가지? 그는 여우가 어떻게 생명을 이어 나가고 있는지 생존전략을 유심히 관찰했다. 그곳에는 약 100발자국 사이로 대접 크기의 말라 죽은 나무들이 있었다. 그 나뭇가지에는 달팽이들이 숨어 있었다.

그런데 사막여우가 많은 나무 중 단지 몇 군데에서만 달팽이를 잡아먹고 다음 나무로 이동하는 게 아닌가. 그것도 한 나무에서 매우 조금씩만 핥아먹은 뒤 다른 나무로 가서 또 조금씩 먹고 대부분은 그대로 남겨두는 것이었다.

그는 이런 행동을 보고 곰곰이 생각했다. ‘만약에 사막여우가 첫 번째 나무에 있는 달팽이를 모두 먹어 치웠다면 그다음, 혹은 그다음 다음에는 이미 달팽이가 바닥나 있을 것이다. 당장 허기를 다 채우려고 했다면 달팽이는 씨가 마르고 그러면 사막여우 자신도 종말을 맞게 된다.’

이 이야기는 그의 자전소설 <인간의 대지>에 나온다. 사고 이후 4년 만인 1939년에 발표한 이 작품으로 그는 프랑스 최고의 지성을 의미하는 아카데미프랑세즈에서 소설 부문 대상을 받았다. 그는 당시 200㎞나 사막을 헤매다가 4일 만에 베두인 상인에게 발견돼 기적적으로 살아 돌아온 경험뿐만 아니라 ‘인간’과 ‘대지’의 근본 관계에 대한 성찰을 함께 녹여냈다.

일생을 비행기 조종사로 활약한 그는 새로운 시각에서 인간의 조건을 관찰하고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하려 했다. 그러면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타인의 삶에 대한 책임감과 연대 의식을 들었다.

<인간의 대지>에 나오는 유명한 문구 “사랑한다는 것은 서로를 마주 보는 것이 아니라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도 인간다움의 근간이 되는 ‘관계’와 ‘책임’의 문제를 규정하기 위해 제시한 말이다. 프레보가 “만약 내가 이 세상에 혼자였다면 나는 그냥 뻗어버렸을 거야”라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막막한 사막 한가운데에서 구조될 희망도 없이, 불덩이 같은 낮과 얼음 같은 밤, 정신을 온통 뒤흔들어 놓는 신기루에 혹사당할 때, 나만의 문제라면 고통스러운 생존보다 간단하고 깨끗한 죽음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둘은 끝없이 하늘을 맴돌며 애타게 찾고 있을 동료들과 가족을 위해 자멸을 택할 수 없었다. 그것은 인간에 대한 예의도, 대지에 대한 예의도 아니었다.

사막은 우리 인생의 은유요, 외로움과 막막함의 상징이다. 프랑스 시인 오르텅스 블루의 ‘사막’이라는 시만 봐도 그렇다. ‘그 사막에서 그는/ 너무도 외로워/ 때로는 뒷걸음질로 걸었다./ 자기 앞에 찍힌 발자국을 보려고.’ 단 4행짜리 짧은 시의 무게감은 엄청나다. 파리 지하철공사가 공모한 콩쿠르에서 8000여 편의 응모작 중 1등을 차지한 당선작답다. 그만큼 밀도감도 특별하다.

사막은 어딘가에 물을 감추고 있다. <어린 왕자>의 명대사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에 샘을 감추고 있기 때문이야”처럼 삭막하고 고독한 모래땅에도 물이 숨겨져 있다. 놀랍게도 사막에서는 안개에서 물을 만들어 먹는 곤충이 있다.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인 ‘나미브사막거저리’는 물을 얻기 위해 사막의 극심한 일교차와 안개를 이용한다.
자연에서 얻는 생태모방 기술
거저리는 밤이 되면 사막의 모래언덕 꼭대기로 기어올라 바다 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기다린다. 안개를 실은 바람이 불어오면 물구나무서기를 한다. 그러면 안갯속에 담긴 수분이 몸에 모이고, 이 수분이 물방울로 흘러내리면 입으로 마신다.

선인장 또한 낮과 밤의 온도 차를 이용한다. 공기 중 수증기가 선인장 가시에 물방울처럼 맺히면 돌기 사이의 V자 모양 계곡을 타고 물이 흘러내려 선인장 몸통에 저장된다. 과학자들은 이 같은 자연의 원리에서 답을 찾아 생태모방 기술을 개발한다.

과학저널 ‘네이처’에 따르면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도록 하는 딱정벌레의 돌기 모양과 물방울 방향을 유도하는 선인장 가시 등 자연에서 힌트를 얻은 요소를 결합해 공기 중 수증기에서 물을 10배나 더 모으는 데 성공했다.

생텍쥐페리는 사막에서 밤이슬을 받아먹고 오렌지 반쪽을 혀끝으로 핥으며 극한 상황을 이겨냈다. 이때의 사막 불시착과 혹독한 고생, 사막여우와의 만남은 <인간의 대지>뿐만 아니라 불세출의 역작 <어린 왕자>의 모태가 됐다. 그러니 사람과 땅, 하늘과 사막, 인간과 동물의 연대는 문학이라는 대지를 적시는 또 다른 수분이기도 하다. 내일은 마침 123년 전 생텍쥐페리의 생일(6월 29일)이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